728x90
변수는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이다.
let myname; // 선언 - let
myname = 'Steve'; // 할당 - 'Steve'
let myname = 'Steve'; // 같이쓰면
표현식에서 쓸 수 있는 변수들 의 예
pi * 5 * 5; // 반지름이 5인 원의 넓이
pi * 7 * 7; // 반지름이 7인 원의 넓이
반지름을 변수로 둔다면?
let radius = 5;
pi * radius * radius;
결과물을 변수로 다시 담을 수도 있다.
let areaOfCircle = pi * radius * radius;
동일한 변수를 이용해 대입할 수 있다.
let sum = 1;
sum = sum + 2;
sum = sum + 3; // 여기서 =는 같다가 아니라 sum에 이미 할당된 sum + 2의 값을 대입한 것.
sum = sum + 4; // 이 구문은 sum에 이미 할당된 sum + 4의 값을 대입한 것.
한번 선언했던 변수를 다시 사용할 때에는 let을 쓰지 않는다.
할당이 없는 변수는 어떻게 될까?
let myname;
myname; // undefined 값을 갖게 된다.
undefined 는 정의되지 않았다는 뜻이다.
반응형
'My Wiki (CodesStates) > JS,Nod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1-6) JS/Node 기초 - 반복문 (0) | 2021.06.29 |
---|---|
(1-5) JS/Node 기초 - 문자열 (0) | 2021.06.26 |
(1-4) JS/Node 기초 - 조건문 (0) | 2021.06.26 |
(1-3) JS/Node 기초 - 함수 (0) | 2021.06.26 |
(1-2) JS/Node 기초 - 타입 (0) | 2021.06.26 |
댓글